[AWS] Spring Boot, S3, Travis CI, Auto-Scaling, Load-Balacner, CodeDeploy로 자동화 배포하기
AWS Auto-Scaling, CodeDeploy로 배포 자동화 하기
CodeDeploy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역할
, 정책
, 사용자
개념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아래의 글을 읽기 전에 여기 에서 간단하게 IAM 개념에 대해 학습하고 오시는 걸 추천합니다.
역할 생성
위와 같이 기본으로 [AWSCodeDeployRole]
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해당 역할은 CodeDeploy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만드는 것입니다.
정책 생성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Action": [
"s3:Get*",
"s3:List*"
],
"Effect": "Allow",
"Resource": "*"
}
]
}
S3에 접근할 수 있도록 정책을 하나 만들겠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는 역할을 사용해도 되지만 본인이 원하는 정책으로 커스텀해서 역할을 만들고 싶을 때 위와 같이 할 수 있습니다.
역할 만들기
사용자나 그룹들에 권한을 직접 적용할 수는 없고 권한들로 만든 정책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방금 만든 정책을 추가하겠습니다.
즉 해당 역할은 Auto-Scaling
과 CodeDeploy로 배포하는 과정에서 통해 각 EC2가 S3 버켓에 파일들을 읽어올 수 있도록 부여하는 역할입니다.
시작 템플릿 만들기
위와 같이 시작 템플릿
에서 인스턴스 프로파일을 설정해주어야 템플릿으로 생성된 인스턴스들은 [Auto-Scaling-Gyunny-Role]
역할을 갖고 시작될 것입니다. (그래야 배포에 성공할 수 있기 때문에 꼭 잘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즉 해당 역할은 EC2에 설치되어 있는 CodeAgent가 S3 버켓을 잘 읽어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설정하는 것입니다.
Auto Scaling Group 만들기
Auto Scaling Group 만들기 를 참고해서 만들고 오시면 됩니다.
- 최소 인스턴스, 적정 인스턴스, 최대 인스턴스 모두 2로 만들었습니다.
- 기존 로드 밸런서에 연결을 했습니다.
그렇게 Auto Scaling Group을 만들고 설정할 때 희망 인스턴스 수를 2로 했다면 위와 같이 인스턴스 2개가 새로 만들어졌을 것입니다.
그리고 로드 밸런서 대상 그룹
에 가보면 위와 같이 정상적으로 로드밸런서에 연결이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CodeDeploy 생성하기
이번에 지정하는 역할은 어떤 것일까요? 저 해당 역할의 내용들을 보면 Auto-Scaling
, Load-Balancer
등등에 관련된 설정이 되어 있는 정책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CodeDeploy에게 해당 역할을 부여해야 CodeDeploy를 통해 Load-Balancer에 연결된 Auto-Scaling 그룹에 배포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배포 설정의 종류는 3가지가 존재합니다. 각각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CodeDeployDefault.OneAtTime
: 한 번에 하나씩 배포CodeDeployDefault.HalfAtTime
: 절반씩 배포CodeDeployDefault.AllAtOnce
: 한꺼번에 배포
여기서는 그냥 CodeDeployDefault.AllAtOnce
로 진행하겠습니다. (나중에 좀 더 커스텀하게 해서 사용해보겠습니다.)
Spring Boot로 자동화 배포 테스트
현재 진행하고자 하는 아키텍쳐는 위와 같습니다.
- CI 도구는 Travis CI를 사용하였습니다.
- CD는 CodeDeploy 를 사용하여 Auto-Scaling Group에 배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이번 글에서는 Travis CI에서 IAM 사옹자 엑세스 키 설정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습니다.
전체 프로젝트 구조는 위와 같습니다.
travis.yml
: Travis CI가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작성합니다.appspec.yml
: CodeDeploy가 배포할 때 각 과정마다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에 대해 작성합니다.deploy.sh
: 배포가 된 후에 EC2 내부에서 작동해야 할 명령어들에 대해서 적습니다.
각각 하나씩 어떤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travis.yml
language: java
jdk:
- openjdk11
brances:
only:
- master
cache:
directories:
- '$HOME/.m2/repository'
- '$HOME/.gradle'
script:
- "./gradlew clean build"
# before_deploy 과정에서 S3에 파일을 저장하고 EC2에 배포할 것들에 대해서 작성합니다.
before_deploy:
- mkdir -p before-deploy # zip에 포함시킬 파일들을 담을 디렉토리 생성
- cp scripts/*.sh before-deploy/
- cp Dockerfile before-deploy/ # Dockerfile 디렉토리로 이동
- cp appspec.yml before-deploy/ # appspec.yml 디렉토리로 이동
- cp build/libs/*.jar before-deploy/ # jar 파일도 디렉토리로 이동
- cd before-deploy && zip -r before-deploy * # before-deploy로 이동후 전체 압축
- cd ../ && mkdir -p deploy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후 deploy 디렉토리 생성
- mv before-deploy/before-deploy.zip deploy/SpringBoot_CI-CD.zip # deploy로 zip파일 이동
deploy:
- provider: s3
access_key_id: $AWS_ACCESS_KEY # Travis CI 에서 IAM 사용자 엑세스 키
secret_access_key: $AWS_SECRET_KEY # Travis CI 에서 IAM 사용자 비밀 엑세스 키
bucket: aws-gyun-s3 # S3 Bucket 이름
region: ap-northeast-2
skip_cleanup: true
acl: private
local_dir: deploy
wait-until-deployed: true
- provider: codedeploy
access_key_id: $AWS_ACCESS_KEY # Travis CI 에서 IAM 사용자 엑세스 키
secret_access_key: $AWS_SECRET_KEY # Travis CI 에서 IAM 사용자 비밀 엑세스 키
bucket: aws-gyun-s3 # S3 Bucket 이름
key: SpringBoot_CI-CD.zip
bundle_type: zip # zip 형태라는 걸 명시
application: Gyunny # CodeDeploy 애플리케이션 이름
deployment_group: Gyunny-Group # CodeDeploy 배포 그룹 이름
region: ap-northeast-2
wait-until-deployed: true
notification:
email:
recipients:
- wjdrbs966@naver.com # 해당 메일로 알림이 옴
각각 어떤 뜻인지는 주석으로 적어놓았습니다. CodeDeploy 애플리케이션 이름, 애플리케이션 그룹, S3 버켓 이름들 잘 맞게 썼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또한 before_deploy
과정에서 배포에 필요한 파일들을 zip으로 압축하기 때문에 어떤 파일을 옮겨야 하는지 잘 보아야 합니다.
appspec.yml
version: 0.0
os: linux # 현재 EC2 Linux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files:
- source: / # 프로젝트 전체를 의미
destination: /home/ec2-user/app/step2/zip/ # EC2 내부에 해당 위치에 파일을 옮기겠다는 뜻 (본인이 원하는 곳을 지정하면 됩니다.)
overwrite: yes
permissions:
- object: /
pattern: "**"
owner: ec2-user
group: ec2-user
hooks:
ApplicationStart:
- location: deploy.sh # ApplicationStart 에서 deploy.sh를 실행합니다.
timeout: 60
runas: ec2-user
deploy.sh
echo "> 현재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 pid 확인" >> /home/ec2-user/deploy.log
CURRENT_PID=$(sudo docker container ls -q)
if [ -z $CURRENT_PID ]
then
echo "> 현재 구동중인 Docker 컨테이너가 없으므로 종료하지 않습니다." >> /home/ec2-user/deploy.log
else
echo "> sudo docker stop $CURRENT_PID"
sudo docker stop $CURRENT_PID
sleep 5
fi
cd /home/ec2-user/app/step2/zip/ # 해당 디렉터리로 이동
sudo docker build -t gyunny ./ # 이미지 만들기
sudo docker run -d -p 8080:8080 gyunny # Docker Container 생성
sudo docker run -d -p 8081:8080 gyunny # Docker Container 생성
쉘 스크립트도 위에 적혀있는 거 같이 현재 실행 중인 것이 있다면 죽이고 새로 컨테이너를 띄우는 식으로 스크립트 파일을 작성하였습니다. (도커를 좀 더 깔끔하게 커스텀 할 수 있을 거 같긴 하지만..)
자동화 배포 시작해보기
위와 같이 간단한 Controller를 만든 후에 Github에 push를 해보겠습니다.
그러면 Travis CI에서 위와 같이 자동으로 해당 커밋에 대해서 CI를 수행합니다. (travis.yml에 적은 대로)
그리고 CodeDeploy에 보면 위와 같이 배포가 성공적으로 잘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제 Auto Scaling으로 만들어졌던 EC2에 각각 접속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위와 같이 EC2 각각에 Docker Container가 실행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EC2 주소로 접속했을 때 위와 같이 잘 뜨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