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이진 트리(binary tree)의 정의Computer Science/Data_Structure 2020. 1. 2. 14:46
자료구조를 오랜만에 공부하다 보니까 개념이 많이 헷갈려서 간단하게 이진 트리에 대해서 정리하면서 JAVA로 구현해 보려고 한다. 아래 블로그의 그림만 가져다 쓰려고 합니다. 이 공간은 제가 공부한 것을 정리하는 공간입니다. http://logonluv.blogspot.com/2015/02/datastructure-tree.html 트리와 이진트리(Binaty Tree)의 설명과 구현 - [형강좌 자료구조 4편] 형강좌 자료구조 시리즈 네번째 편인 트리 구조와 이진 트리(Binary Tree) 대한 설명입니다.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그림과 예제를 첨부하였습니다. logonluv.blogspot.com 이진 트리(binary tree)의 정의 트리 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트리가 이진트리이다. 모든 노드가 ..
-
[JAVA] 다중 상속(multiple inheritance) 이란?Language/Java 2020. 1. 2. 04:11
예전에 자바 공부를 할 때는 다중상속 이라는게 잘 이해가 되지 않아 살짝 두려운 내용이었지만, 지금 자바 공부를 다시 하고 있을 때는 이해가 되어서 글로 정리를 해보려 한다. ( 예전엔 이게 왜 어려웠었지? ) 다중상속이 무엇인지 공부를 하기 전에 하나 알아두어야 할 것은 자바의 일반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를 단 하나만 가져야 하므로 여러 부모 클래스를 갖는 다중 상속을 지원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터페이스는 추상 클래스보다 더 추상적이므로 여러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다중 상속을 지원한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는 클래스가 아니다. 그래서 인터페이스를 구현 하는 클래스는 implements 를 통해서 구현을 하고 인터페이스 끼리의 상속을 받을 때는 extends 를 사용한다. 예를들어 X, Y 라는 인터페이스가 ..
-
[Git] clone 과 Fork 의 차이점Github/Git 2019. 11. 22. 00:39
이번 글에서는 clone과 Fork의 차이점을 알아보려 한다. 1. fork란? fork는 다른 사람의 Github Repository에서 내가 어떤 부분을 수정하거나 추가 기능을 넣고 싶을 때 해당 repository를 내 Github Repository로 그대로 복제하는 기능이다. fork한 저장소는 원본(원래 Repository 주인)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되어 있다는 의미는 원래 레포지토리에 어떤 변화가 생기면(새로운 commit, push) 이는 그대로 fork된 repository로 반영할 수 있다. 이 때 fetch, pull의 과정이 필요하다 그 후 original repository에 변경 사항을 원본 레포지토리에 적용하고 싶으면 원본 저장소에 pull request를 보내야 한다..
-
Git/Github 입문하기Github/Git 2019. 11. 17. 14:30
나는 git 과 github 가 다르다는 것은 들어본적이 있어서 알고는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자세히 알지 못했다. 또한 다른 블로그 글이나 다른분의 자료를 많이 참고할것인데 이해 부탁드립니다 ㅠ (개인 공부용으로 올리는 것입니다) 오늘 공부를 좀 하다보니 차이가 이렇다는 걸 알게 되었다. 또한 DVCS 가 무엇이지? 하고 검색을 해보았다. DVCS (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s ) 즉, 분산 버전 관리 입니다.사전적 설명으로는 중앙 서버에 있는 코드를 개발자 각자의 로컬 컴퓨터에 복사한 후, 복사된 프로젝트를 가지고 작업하며 서버에 업로드를 할 수있습니다. [출처] DVCS 란?|작성자 LiveDat 라데의 공부방 : 네이버 블로그 여러 컴퓨터 관련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