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
-
[Cassandra] Cassandra truncate 이후 snapshot 제거Computer Science/Cassandra 2024. 4. 10. 21:57
Cassandra truncate 이후 snaptshot 제거 truncate TRUNCATE test_keyspsace.user_activity; 카산드라에서도 truncate 명령어로 테이블의 데이터를 지울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다시 복구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스냅샷이라는 데이터를 남겨놓는다. 즉, truncate 한다고 해서 바로 Disk 사용량이 줄어들지 않고 스냅샷을 제거해야 서버의 Disk 사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snapshot 제거 ./nodetool clearsnapshot {keyspace} --all ex) ./nodetool clearsnapshot test_keyspsace --all Cassandra TRUNCATE 작업 후에 위의 명령어로 SNAPSHOT 제거도 필요하..
-
[MySQL] MySQL 인덱스 컨디션 푸시다운이란?Computer Science/Database 2024. 4. 10. 01:42
MySQL 인덱스 컨디션 푸시다운 이란? MySQL 5.6 버전부터는 인덱스 컨디션 푸시다운(Index Condition Pushdown) 이라는 기능이 도입 되었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인덱스 컨디션 푸시 다운 secondary index에만 사용됩니다. 전체 row 읽기의 수를 줄여 I/O 작업을 줄이는 것. 인덱스를 범위 제한 조건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쿼리에 한해서 발생하는 것 같음 (LIKE %name%, like > 10 같이 인덱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범위 검색을 의미하는 것 같음) InnoDB Clustered index의 경우, 전체 레코드가 InnoDB 버퍼에 존재하기 때문에, 인덱스 컨디션 푸시다운을 사용해도 I/O가 감소하지 않음 MySQL SQL 수행 절차 MySQL 엔..
-
[Cassandra] Cassandra Consistency Level 이란?Computer Science/Cassandra 2024. 2. 12. 01:49
Cassandra Consistency Level 알아보자 이번 글에서는 카산드라 Write, Read 각각 Consistency Level에 대해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asssandra CAP 특징 카산드라는 CAP 3가지 특징 중에 AP 시스템으로 높은 가용성과 파티션 허용 오차를 제공합니다. 상황에 따라 CP시스템으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습니다. 즉, 카산드라에서는 Wrtie, Read의 Consitency Level을 어떤 값으로 설정하냐에 따라서 AP 시스템이 될 수도 있고, CP 시스템이 될 수도 있습니다. Consistency Level 이란? 일관성 수준은 코디네이터(coordinator) 노드가 non-lightweight transaction을 성공적으로 처리하기..
-
[Cassandra] Cassandra Partition에 대해 알아보자Computer Science/Cassandra 2024. 2. 5. 01:23
Cassandra Partition에 대해 알아보자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위해 설계된 분산형 No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Cassandra에서 파티셔닝은 중요한 개념입니다. Cassandra는 데이터를 더 작은 파티션으로 나누어 클러스터에 분산하는 과정인 파티셔닝을 통해서 여러 노드에 걸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카산드라를 사용할 때 성능을 최적화하고 데이터 분산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파티셔닝을 제대로 이해하고 구성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고 필수적입니다. (안그러면 카산드라 사용하는 이유 및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는..) 본격적인 내용을 들어가기 전에 가볍게 Cassandra Partition Key, Clustering Key, Primary Key에 대해서 살짝만 알아보겠습니다. Primary Key..
-
[Network] HTTPS란 무엇일까?Computer Science/Network 2021. 4. 2. 15:22
HTTPS 동작하는 방식 이번 글에서는 왜 HTTP가 아닌 HTTPS를 사용 하는 것이며 HTTPS는 어떠한 동작방식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평상시에 인터넷을 하면서 HTTP, HTTPS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일반적인 웹 사이트들을 보면 위와 같이 http://, https://와 같이 되어 있을 것입니다. http에는 자물쇠가 잠겨있지 않고, https에는 자물쇠가 잠겨있는 것을 보아 https가 좀 더 안전해보입니다. 왜 더 안전하고 http에는 어떠한 단점이 존재하는지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HTTP의 약점 평문(암호화 하지 않은) 통신이기 때문에 도청 가능 통신 상대를 확인하지 않기 때문에 위장 가능 완전성을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변조 가능 HTTP는 좋은 점과 편리..
-
[Network] TCP와 UDP의 구조와 특징Computer Science/Network 2021. 4. 1. 10:35
TCP와 UDP의 구조 정리 이번 글에서는 먼저 신뢰성/정확성을 우선으로 하는 연결형 통신 프로토콜인 TCP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캡슐화, 역캡슐화에 대해서 알고 있을 것입니다. 캡슐화: 응용 계층부터 물리 계층까지 계층별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헤더를 붙이는 것입니다. 역캡슐화: 물리 계층부터 응용 계층까지 계층별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헤더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TCP로 전송할 때 붙이는 헤더를 TCP 헤더라고 하고, 이 TCP 헤더가 붙은 데이터를 세그먼트(segment)라고 합니다. TCP 헤더에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제대로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TCP는 연결형 통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결형 통신은 꼼꼼하게 상대방을 확인하면서 데이터를 전송합니..
-
최장 공통 부분 수열(LCS : Longest Common Subsequence)란?Computer Science/Algorithm 2020. 6. 21. 02:49
최장 공통 부분순서란? LCS란 Longest Common Subsequence의 약자로 최장 공통 부분 문자열이다. Subsequence는 부분 수열이라는 뜻으로 연속적이지 않아도 되는 부분 문자열이다. 한마디로 두 문자열을 비교할 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부분 순서들 중 가장 긴 것이다. 예를들어 "ABCBDAB"와 "BDCABA"의 LCS를 구하면 "BCBA"가 나오게 된다. 그리고 LCS는 최적화를 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동적계획법(DP)를 사용하여야 가장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다. 그러면 간단하게 LCS를 구하는 예시를 보면서 어떤 느낌인지 생각해보자. 문자열 "CAT"와 "CRAB"의 LCS를 구하여 보자. 위의 c[i][j]의 배열의 의미는 예를들어 c[1][2]라면 "CAT"에서는 C까지..
-
레드블랙트리(Red-Black-Tree)란?Computer Science/Data_Structure 2020. 6. 20. 02:45
https://devlog-wjdrbs96.tistory.com/42?category=824010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 란?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는 이진 트리 기반의 탐색을 위한 자료 구조이다. 탐색은 내가 생각하기에도 코딩테스트와 같은 곳에서도 자주 출제가 되며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도 많이 �� devlog-wjdrbs96.tistory.com 기본적으로 레드블랙트리를 알기 위해서는 이진탐색트리가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잘 모른다면 위의 글을 먼저 읽어보는 것을 추천하고, 안다는 가정하에 글을 써보려 한다. 이진 탐색 트리의 분석 위와 같은 이진탐색트리 연산은 트리의 높이가 log2n이기 때문에 평균적인 경우의 시간복잡도는 O..